본문 바로가기

리뷰, 정보

[부동산] 내포신도시 지도(배치도) 및 아파트 전체 입주량 정리

반응형

오늘은 내포신도시 전체 배치도와 이 곳 아파트들의 전체 입주 물량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치상으로 볼 때 내포신도시는 충청남도 홍성군과 예산군의 중간 경계라인 걸쳐져 있는 꽤 독특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행정구역도 한 지방단체에서 관할하는 것이 아닌 홍성과 예산에서 각각 관리를 하고 있는 그런 곳이다.

 

이 곳엔 충남도청 신청사가 이전해서 자리 잡고 있고, 전국의 다른 혁신도시들이 지정되고 10여년 간 정착 및 발전해가고 있을 즈음, 이 곳은 2020년이 되서야 혁신도시로 공식 승인을 받았다. 

 

솔직히 나는 혁신도시의 성장 과정을 바로 앞에서 지켜보며,

부동산의 가치 변화의 측면에서 혁신도시를 오랜기간 동안 흥미롭게 지켜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곳 내포신도시는 분양가 및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방임을 감안하여도 굉장히 저렴하다는 판단을 하여 약 1년 반 전쯤 이 곳에 있는 꽤 괜찮은 입지에 분양하는 아파트를 분양 받게 되었다. 

솔직히 작년 분양 받을 당시 (21년 12월)만 해도 아파트 가격이 거의 꼭지점을 찍을 정도로 호황기였던 시절이였고, 

이 곳 분양가가 평당 1,000만원 안되는 가격이였기 때문에 굉장히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했다. 

 

충남내포혁신도시 배치도

위 지도는 내포신도시의 구역별 배치도 이다. 

이 배치도를 보면 보자마자 드는 생각이 '아파트가 굉장히 많구나'하는 생각이다.

실제로 수요에 비해 아파트 입주가 굉장히 많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렇게 물량이 많으면 엑시트 하기가 꽤 까다롭고, 의도와는 다르게 투자가 장기화 될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검토를 했었어야 했는데, 

당시에는 저렴한 가격이 이런 물량마저 극복해낼 수 있을 거라는 믿음으로 분양권을 갖게 되었다.

장기적으로 꾸준한 인플레이션이 진행됨을 믿기 때문이다.

 

입주시점 아파트명 세대수 비고
2012년 12월 내포롯데캐슬 885  
2014년 5월 극동스타클래스 938  
9월 내포효성해링턴 915  
2015년 8월 1단지LH스타힐스 2,127  
2016년 4월 내포신도시 경남아너스빌 990  
내포신도시 모아엘가 1,260  
10월 중흥1차 1,660 임대
12월 내포 상록 497 임대
2017년 12월 이지더원1차 892  
2022년 4월 도나우에듀파크1차 223  
8월 도나우에듀파크2차 329  
9월 이지더원2차 817  
11월 LH10-1블록 1,400 임대
LH10-2블록 1,196 임대
2023년 1 대방1차 868  
7 LH11블록 718 임대
대방2차 831  
2024년 2 모이미래도1차 870  
3 이지더원3차 954  
9 모아미래도2차 870  
10 중흥2차 1,120  
2025년 1 반도 955  
6월 대광 601  
2026년 1월 대방3차 1,474  
총 세대수 23,390  

** 소규모 행복주택 및 빌라 제외

 

1년 반이 지난 지금, 분양권 전매 제한이 해제되어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모든 곳이 분양 계약 1년 후 분양권 매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사실 전매 해제 전부터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전국의 부동산 가격이 꽤 많은 규모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이 곳 분양권 프리미엄도 마이너스 피가 아닐까 많이 걱정했었다.

 

하지만, 분양가 자체가 워낙 저렴(?)해서였는지....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생각했던 만큼의 큰 하락 수준은 아니였다.

동호수마다 다르겠지만, 호가 기준으로 보통 +500~-1000만원 수준이였다.

 

하지만, 문제라고 보여지는 부분은 매매량이 많이 없다는 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단 떨어진 가격이든 오른 가격이든 매매량이 뒷받침 해줘야 그 곳을 딛고 일어설 수 있는데, 아직은 원하는 수준의 매매량이 없는 분위기다. 

 

아무래도 충남에서는 선호도가 높은 천안 같은 도시가 먼저 흥해야(?) 갭메우기 형식으로 이곳 내서까지 훈풍이 불어 올 것 같다.

다른 요인을 배제하고 입주량 하나로만 봤을땐 , 내포신도시 부동산의 극적인 가격변화는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약 2027~2028년은 가야 뚜렷한 변화를 느낄 수 있지 않을 까 싶다. 

 

그 전까진 물가 인상율 수준으로 더디게 흘러갈지도 모르겠다.

 

이러한 대규모 입주량을 극복하고 누구나 살고 싶은 내포신도시가 되기 위해

주변 지역에 대기업 유치나 큰 공공기관의 이전 등으로 인구 유입이 필요한데...

 

그런 상황을 어서 빨리 뉴스에서 볼 수 있길 기대해본다.

반응형